안녕하세요 여러분!
mash-up 10기 신입 유희진입니다! 햐햐
저는 이번 코틀린 스터디에서 다뤄본 범위 지정 함수에 대해서 써볼까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코틀린을 처음 사용해본 것이 이번년도 7월이었는데, 그 때 제대로 배우질 못해서, 좀 코틀린을 자바처럼(?) 사용했던 것 같아요. 그러다 범위 지정함수라는 let, also, run, with, apply
이 다섯 종류의 함수들을 알게되었는데, 제일 자바와는 다르게 느껴졌던 기능이었고, 계속 헷갈리는 기능들인 것 같아요. 저는 사실 이름에서 기능을 유추하기도 힘들다고 생각해요,,(ㅎ)
아무튼간, 이번 코틀린 스터디에서 다시 한 번 다루게 되면서 이젠 제대로 좀 알아보자싶어 블로그에 정리하면서 복습해보려고 합니다.
범위 지정 함수는 고차함수로 정의됩니다. 즉, 다른 함수를 인수로 사용합니다. 이런 인수는 특정 경우에 수신자와 함께 함수 리터럴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범위 지정 함수는 임의의 context를 가져와 다른 scope로 넘기는데요, 그 scope안에서는 함수에 따라서 it이나 this로서 표현됩니다.
Documentation: https://kotlinlang.org/api/latest/jvm/stdlib/kotlin/let.html
inline fun <T, R> T.let(**block**: (T) -> R): R
저도 let 함수때문에 범위 지정함수를 알게되었는데, 아마 여러분도 처음에 가장 많이 보지 않으셨나요? scope function에서 가장 유명한 함수인 let입니다.
T
의 extension으로서 정의됌.R
이 리턴 값임.block
의 결과 R
은 let
자신임.(T) -> R
인 일반 함수의 block
인자T
는 block
에게 인자로서 넘어감if (object != null)
의 대체Kotlin Idioms 섹션에 보면 let은 특정 객체가 null이 아닐 경우에 대한 블록으로 사용됩니다.
val len = text?.let {
println("get length of $it")
it.length
} ?: 0
nullable 인 text 변수는 let에 의해 새로운 scope를 생성하고, 그 안에서 text는 it으로서 작용해요.
let
함수는 또한 변형을 위해서 사용되기도 하는데요, 특히 nullable 타입의 변형에서 사용돼요. 이 또한 idioms에 정의되어 있습니다.
val mapped = value?.let { transform(it) } ?: defaultValue
만약 특정 변수나 계산등이 꼭 확인되고 지정된 범위 안에서만 사용가능하고 바깥의 범위에서는 사용되지 않아야한다면 let을 쓰는게 좋습니다.
val transform = "stringConfinedToLetScope".let {
println("variable can be accessed in let: $it")
"${it.length}$it"
}
//cannot access original string from here
}
Documentation: https://kotlinlang.org/api/latest/jvm/stdlib/kotlin/run.html
inline fun <T, R> T.run(block: T.() -> R): R
T
의 extension으로서 정의됌.R
이 리턴 값임.block
의 결과 R
은 run
자신임.T.() -> R
인 일반 함수의 block
인자run
함수는 block
이 정의되는 방법 빼고(4번) 모두 let
과 같습니다.
run
은 기본적으로 let
과 많이 비슷한데, 대신 receiver T가 람다 인자 안에서 this로서 보여집니다.
if (object != null)
의 대체 **val len = text?.run {
println("get length of $this")
length //this can be omitted
} ?: 0
예시에서 보면 this.length라고 쓰지 않고, 그냥 length라고 쓰였는데, this는 scope안에서 생략이 가능합니다.
run은 변형할 때 또한 사용하기 좋은데요, 아래 있는 예시를 보면 let을 사용했을 때 보다 this를 아래서 반복할 필요가 없어 더욱 읽기가 쉽습니다.
import java.util.Calendar
val date: Int = Calendar.getInstance().run {
set(Calendar.YEAR, 2030)
get(Calendar.DAY_OF_YEAR) //return value of run
}
Documentation: https://kotlinlang.org/api/latest/jvm/stdlib/kotlin/also.html
inline fun <T> T.also(block: (T) -> Unit): T
also
함수는 코틀린 언어에 가장 최근에 추가된 범위지정함수인데요, version 1.1에서 추가되었다고 합니다.
T
의 extension으로서 정의됌.T
가 리턴 값임.(T) -> Unit
인 일반 함수의 block
인자T
는 block
에게 인자로서 넘어감also
는 결과로 T
를 반환한다는 것 빼고 let
와 같답니다 !
이게 무슨말일까요! context 객체와 관련된 어떤 task를 하고 싶지만, 그 객체 자체는 람다 안에서 사용되지 않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들어 로그를 찍는 일이 있습니다. Kotlin coding conventions 에 설명 되어 있듯이, also
는 아래의 예시처럼 사용되기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val num = 1234.also {
log.debug("the function did its job!")
}
이 경우, 거의 한 문장처럼 읽힌다고 하는데요(흠) 변수에 어떤걸 할당하고 "또한(also)" 콘솔에 로그를 찍어라!
이런 식으로. 아무튼, 그래서 코틀린 코딩 컨벤션에서 로그를 찍으려고할 때 사용되기를 권장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also가 사용되는 흔한 시나리오 중 또 하나는 객체를 초기화할 때 라고 합니다. 앞서 소개시켜드린 run
과let
과는 반대로 also
는 블록을 실행한 뒤 수신자 객체를 반환해요.
val bar: Bar = Bar().also {
it.foo = "another value"
}
보이시는 것 처럼, bar가 생성이 된 직후 also를 통해 바로 property를 초기화 하고 있어요. also는 수신자 자기 자신을 반환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인거죠!
also
가 수신자 객체를 리턴한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객체에서 다른 프로포티의 값이 계산되고 이것저것 하고 난 뒤 다시 할당할 때 사용 될 수 있어요.
fun getThatBaz() = calculateBaz().also { baz = it }
값이 계산되고 난 뒤 also를 통해서 다시 할당되고 있어요.
Documentation: https://kotlinlang.org/api/latest/jvm/stdlib/kotlin/apply.html
inline fun <T> T.apply(block: T.() -> Unit): T
apply
함수는 커뮤니티에서 요구해서 추가하게 된 함수 중 하나라고 해요. 가장 많이 사용될 때는 also
와 같이 초기화 할 때라고 합니다.
T
의 extension으로서 정의됌.T
가 리턴 값임. (여기서도 also와 같이 수신자 객체를 반환하죠!!?!?!?)T.() -> Unit
인 일반 함수의 block
인자궁극적인 apply
의 목적이 초기화
라고 해요. 커뮤니티에서 언어를 만드는 거의 마지막 단계? 쯤에서 요구했다고 하는데요 여기서 그 과정을 보실 수 있으세요!
val bar: Bar = Bar().apply {
foo1 = Color.RED
foo2 = "Foo"
}
앞에서 보여드렸듯이 apply
가 이 과정을 물론! 대체할 수 있지만, 큰 장점은 보시면 아실 수 있듯이 it
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여기서 Bar()은 this로 표현이 되고 있어요. 그런데 위에 run
에서 보셨듯 this는 생략이 가능해요! 이곳에서 also
와 apply
의 차이점에 대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Kotlin Idioms에 정의되어 있듯, apply는 unit을 리턴하는 메소드를 래핑할 때 사용된다고 합니다.
data class FooBar(var a: Int = 0, var b: String? = null) {
fun first(aArg: Int): FooBar = apply { a = aArg }
fun second(bArg: String): FooBar = apply { b = bArg }
}
fun main(args: Array<String>) {
val bar = FooBar().first(10).second("foobarValue")
println(bar)
}
이 예에서 class가 Builder style API를 클라이언트에 노출하려고 하기 때문에 여기서 apply는 setter 처럼 사용되는 메소드를 정의하기에 매우 유용하다고 합니다.
Documentation: https://kotlinlang.org/api/latest/jvm/stdlib/kotlin/with.html
inline fun <T, R> with(receiver: T, block: T.() -> R): R
드디어 마지막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위의 네 개의 함수와 조금 많이 다른데요, 생긴 것 부터 좀 달라요. 일단 확장 함수가 아닙니다.
T
를 첫번째 인자로 받는 독립된 함수R
은 with
자신임.T.() -> R
인 일반 함수의 block
인자with
함수는 R
을 리턴한다는 점에서 let
, run
과 같지만 종종 apply
와 비슷하다고 많이들 말한다고 해요. apply와 with의 차이점
은 여기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with
은 람다의 마지막 줄을 리턴하고, apply
는 람다 결과 객체를 반환한다고 합니다.
Kotlin Idion에 정의되어 있는 것은, with
는 객체를 확인된 범위 내에서만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고 합니다.
val s: String = with(StringBuilder("init")) {
append("some").append("thing")
println("current value: $this")
toString()
}
with은 인스턴스 자체를 외부 범위에 노출하지 않고 StringBuilder에 대한 호출들을 wraaping하는데 사용하고 있습니다.
확장함수는 보통 패키지 레벨에서 정의되어 쉽게 아무데서나 import되고 접근할 수 있습니다. 또한 class나 object레벨에서도 정의될 수 있는데 이는 “member extension function”이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이런 종류의 확장함수들은 클래스 안에서 쉽게 사용되는데 클래스 외부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둘러싸는 클래스 외부에서 엑세스 할 수 있도록 하려면 해당 클래스를 “scope안으로” 가져와야하는데, 이 곳에서 with
함수가 유용하다고 합니다.
object Foo {
fun ClosedRange<Int>.random() =
Random().nextInt(endInclusive - start) + start
}
// random() can only be used in context of Foo
with(Foo) {
val rnd = (0..10).random()
println(rnd)
}
위에서 보여지는 Foo 객체는 멤버 확장 함수인 random()을 정의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함수는 이 객체의 범위 내에서만 쓰입니다. with
함수를 사용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이 전략은 특정한 확장 기능을 의미있게 그룹화 해야하는 경우 권장된다고 합니다.
5개의 함수를 모두 알아보고, 코틀린 idioms에 있는 예시도 알아봤는데요, 함께 놓고 비교해보겠습니다.
//return receiver T
fun T.also(block: (T) -> Unit): T //T exposed as it
fun T.apply(block: T.() -> Unit): T //T exposed as this
//return arbitrary value R
fun <T, R> T.let(block: (T) -> R): R //T exposed as it
fun <T, R> T.run(block: T.() -> R): R //T exposed as this
//return arbitrary value R, not an extension function
fun <T, R> with(receiver: T, block: T.() -> R): R //T exposed as this
also
와 apply
는 둘 다 실행 뒤에 수신 객체 T를 반환합니다. apply
에서는 블록안에서 T는 this
로 표현되고 반면에 also
에서 T는 it
으로 표현됩니다.
let
과 run
은 둘 다 실행 뒤 임의의 결과 R을 반환합니다. 그리고run
은 수신자가 있는 함수 리터럴로 작동하지만 let
은 간단한 함수 타입을 사용합니다.
with
은 다른 4가지와 가장 다른 함수였는데요, T의 확장함수로 정의되지 않습니다. 두 가지 파라메터를 갖고 그 중 첫 번째는 이 scope function의 수신자 객체를 나타냅니다.
https://kotlinexpertise.com/coping-with-kotlins-scope-functions/